background image

Interviews

INTERVIEWS > Ruin

Go to part: 1 2 3

When we start to gather near a club entrance in Itaewon at night, I feel a special space begins to build around us. It is a space where one is not just a transgender person but also a woman, where we can be ourselves and express our femininity in the freest way, and where all this is supported as solidly and warmly as it can be. This is a space of empowerment.

Ruin

한국어로 보기

Download interview in PDF format Click here to download PDF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An Interview with Ruin

June 3, 2010
Hongdae Toz, Seoul, Korea

Ruin: My name is Ruin and I usually introduce myself as an MTF transgender lesbian. I’m also a vegetarian and a cat lover. I started thinking about gender issues in 2004, and two years later I became an activist. I wasn’t quite aware of sexual identity issues before encountering feminism; through feminism I realized that the general notion of femininity or masculinity was completely different from my personal experience. So I started questioning: What am I? But I didn’t immediately acknowledge myself as a transgender person. The stereotype of a transgender at that time was someone like Ha Risu [MTF transgender celebrity in Korea], who debuted in 2001, post-op and taking hormones. My original concerns weren’t the medical treatments; they were about explaining myself.

I first outed myself in 2005, by becoming a supporting member of the Korean Sexual Minority Culture Center. The following June, I participated in the Queer Culture Festival in one of the programs that was a transgender forum, which later developed into the Korean Transgender Activist Group Jirungi [Worm]. It turned out that I was the only new face at the forum. Everybody else was either already acquainted with each other or had been officially invited. I was the only one who came in response to the advertisement. That is how I met the people with whom I have exchanged thoughts and with whom two months later I established Jirungi. I don’t work at Jirungi anymore since June 2010.

Carlos Motta: Can you speak about your decision not to have medical treatment?  

R: I didn't feel obliged to do it. Medical treatment is not what identifies one as a transgender person. There are many different ways to live as a transgender, even without having operations or taking hormones. I might change my opinion later on. 

CM: Is that a political or a personal decision? In other words, are you thinking about reconsidering gender categories, which are often tied to the way the people look physically?

R: It's kind of difficult to determine which is the case, but I guess I made up my mind not to have surgery first and considered its political effects afterwards. When I introduce myself as a transgender, I usually don't clarify whether I'm MTF or FTM. A lot of people mistake me as an FTM, others get confused thinking: "From how he/she acts, he/she is a woman but from the way he/she looks he/she must be a man…" I find these reactions very interesting so I make use of them often; but they weren't something I deliberately aimed at. 

CM: Can you speak about what are the issues that transgender activists are dealing with in Korea at the moment? What is on the agenda and how are the strategies employed to accomplish their goals?

R: The biggest issue is th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The 13-digit national identification number system of Korea. The first six digits consist of the resident's birth date, in the form of YYMMDD, and the first of the latter seven digits indicates the resident's sex; an odd number if a man, an even number if a woman]. The RRN is almost a prerequisite for a proper life in Korea. They ask for it on all sorts of occasions. For transgender persons, the sex indicated on the RRN and the apparent or identified sex is discordant and therefore are looked at suspiciously. The RRN is also required when you look for a job, so transgender people are often unemployed or work temporary jobs. Some transgender persons look almost 20 years younger due to their hormone treatments and they are more than often asked for their RRN cards at bars and even when buying cigarettes. Sometimes they are even suspected of carrying someone else's card. 

Another problem are the public bathrooms. Public bathrooms are divided by sex (male and female); sex perceived according to the person’s physical appearance. We talked about re-categorizing the bathroom system with the feminist disability groups. Bathrooms for the disabled are all unisex in Korea. We need bathrooms that don’t follow ordinary sex classifications. We proposed a joint activism, but changes are yet to be made.

In 2008 group homes also became an issue. For a transgender runaway that looks like a female after hormone treatments finding a group home to accept her is very difficult. Group homes are still hostile to homosexuals, which make it even more difficult for transgender people. We are considering two options: creating a new group home, or searching through existing ones that accept transgender individuals. Medical care is discussed often too. There is no insurance policy for treatments for transgender people, there is no regulation, and so the price can really hit the roof. Also, surgery results differ extremely according from doctor to doctor. 

CM: I think the issue of bathroom politics is a particularly interesting one. How are you, as an activist collective and individually, thinking about addressing this issue to the authorities to achieve change?

R: It isn't a formed movement yet, but several activists are speaking out through the press. Bathroom politics became an important issue during a human rights activists conference in 2007. I participated as a representative of transgender activists, along with other members of Jirungi. The building where the conference was held had the common dual-sex bathrooms. We raised this as an issue and proposed that at least one floor should have a unisex bathroom. Even activists think that transgender issues will all be settled if we undergo surgery; but after this incident they came to know the scope of the problem. 

Feminist disability groups tend to claim for sexual division of the normally unisex bathrooms for disabled people. But transgender activists insist for gender-neutral, non-segregated bathrooms. Making a separate bathroom for the disable is in itself classifying and segregating the disabled. We think that classification is the fundamental problem; what we need is one bathroom for everybody, whether you're man or woman, disabled or not disabled. 

We tried to make this bathroom issue public, pointing it out at events such as the Human Rights Film Festival, so that people would assume transgender issues as a part of their lives. In 2008, the Women Student Council of Yonsei University held a culture fest on alternative bathrooms. They questioned sex, gender, disability and the body, and staged performances. The visible changes stop here, but this is a great step forward. 

CM: I remember, recently, in Thailand, some schools provided gender-neutral bathrooms. Are you aware of this?

R: No. I only heard that there are some in Los Angeles.

CM: What about the issue of health care? How are you as activists approaching it?

R: There are records that gender reassignment surgeries were performed in Korea as early as 1930, but official medical journals place the first surgeries in the 1980s. Nowadays there are some doctors that are renowned for gender reassignment. But there are no legal regulations whatsoever: none for hormone therapy costs or periods, none for psychiatric diagnosis… The after effects of surgery and medical accidents are also a huge problem. For these reasons many people go all the way to Thailand to receive treatment. 

Insurance coverage of transgender treatments is a double-edged problem. Without insurance, the black market grows and stabilizes the price at a lower rate. In fact, isn't institutionalization also an illegal process of the things that were, until now, easily tolerated? It reflects the desire to control everything outside governmental supervision. So some activists are hesitant of institutionalizing, rather choosing to raise the black market itself and circulate it within the community, along with networks with several gender-conscious doctors.

CM: So transgender people are responsible for their own health? In other words, there is no type of institutionalized support?

R: No. None.

CM: Is it a desire of a transgender activist to achieve legislation that would cover these issues?

R: Well, in 2006 one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proposed a special act on legal recognition to sex reassignment. The center subject being the RRN. How to make the RRN modification process more simple and systematic? Until now it was solely left to the judge's discretion. Some would permit if after hormone therapy or genital surgery; some would demand photographic evidence; others won't permit it even if all the above are satisfied. Since the cases are so varied, we thought some sort of legalization was needed.

Law specialist transgender activists conjoined, and constantly discussed how to make the law more favorable to transgender people. A couple of medical specialists, including psychiatrists and gender reassignment surgeons, also attended the public hearing. If this had gone through, some changes on the medical issue would have subsequently followed. But it didn't. Actually this bill was brought in before, and was rejected, so the overall movement was in low spirits. We talked about how important it is and how necessary it is to take action… Even so, it was difficult to get things going, because we all knew very well that it is not a simple task. Besides, the number of activists focusing on transgender issues was very small, about 5 or 6, and a bit over 10 if we include the supporters. 

CM: How are transgender people represented in Korea nowadays? 

R: There is a huge difference between life inside and outside of Itaewon. For example, if I go shopping for women clothing at Hongdae or Shinchon, the shop clerks would say: "Sir, men’s clothes are on the other side;" or, "Are you looking for a gift for your girlfriend?" This is the normal perception in Korea. However, if I shop at Itaewon, they would say: "Try on the ones you like." They even call me Unni [A title used by women when designating other women older than themselves]!

In Korea, the rate of violence against LGBTs is actually quite low. People may talk behind your back–"is he a he or a she?"– but seldom to your face. But it is not likely out of goodwill but more out of ignorance. They just don't know how to react, how to express hate or how to use violence. I once walked about in downtown Seoul wearing a skirt. Startled, people kept on staring, but did nothing more. In Itaewon, it doesn't bother anyone. There is this silent consent that Itaewon is a different space with a different formula.

It is said that transgender people started to live in Itaewon in the 1950s. Bars and clubs opened then; the first official transgender club opened in the late 1960s. Nowadays there are about 15 clubs, and 500-600 transgender persons live in the Itaewon area. People of all ages visit the clubs, from teenagers to people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CM: Does that mean that transgender people somehow, this is a generalization, work in the nightclub industry? 

R: Not necessarily. According to a 2006 survey on transgender rights, relatively few transgender people work in clubs or bars, and many of them live outside of Itaewon. Nevertheless, a lot of us gather in Itaewon because this is the most easy and comfortable place for us. Itaewon people are used to transgender persons so they don't bother us, and the clubs make it easier for us to get jobs and earn a living. Many transgender people say that they will never come near Itaewon once they make some money and get married; but secretly they all keep certain affection for this place. It is some kind of a hometown, so to speak... Needless to say, they all do have the desire to be someone else somewhere else. 

When we start to gather near a club entrance in Itaewon at night, I feel a special space begins to build around us. It is a space where one is not just a transgender person but also a woman, where we can be ourselves and express our femininity in the freest way, and where all this is supported as solidly and warmly as it can be. This is a space of empowerment.

Segregation is less harsh in Itaewon as well. Clubs (though it must be admitted that they are linked to sexual labor) do not perform the exploitation that seems to be a common case amongst non-transgender female sex workers. There are no "managers" or pimps; the worker makes a one-to-one contract with the client, and negotiates her payment. 

Itaewon commonly passes as a nightlife area or a crime-ridden district packed with foreigners, but for us, it is the most comfortable public place. It is true that a lot of transgender people live in tiny rental studios to save money for operations; but they choose to live in Itaewon because it is a place where their way of life can be acknowledged. Most of us do not live according to social norms.

People joke that you hear 10 different languages during a 10-minute walk from or to the Itaewon subway station. This place is very different from the rest of Korea. Various ways of life coexist, but you learn to get along by intuition. I sometimes imagine what it would be like if all the other places became like Itaewon. Maybe every place is, in essence, the same; maybe they are just afraid, hiding, shunning.

My idea of activism is creating this kind of culture. What I really want to do is not activism that aims at legalization or institutional reform, but cultural activism that will change people's imaginations: people being able to imagine that I can, or my parents can be transgender. I'm still in the dark, searching, but someday a completely new perception, a completely new imagination may be possible, just like it occurs in Itaewon.

↑Top 

Read edited transcript in English

Download interview in PDF format Click here to download PDF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밤에 클럽 앞에서 모여 앉아 있을 때에는 어떤 공간이 만들어진다고 느껴요. 이 사람은 트랜스젠더이지만 또한 여성이라는 약속을 하고 들어오는 공간, 그래서 트랜스젠더들이 제약 받지 않고 자신이 여성임을 마음껏 표현해낼 수 있고, 그것을 가장 편안하고 안전하게 지지해주는 공간이요. 이렇게 우리들이 힘을 얻을 수 있는 공간인 거죠.

루인과의 인터뷰

2010년 6월 3일
홍대 TOZ, 대한민국 서울

Ruin: 이름은 루인이고, 보통 MTF 트랜스젠더에 성정체성은 레즈비언이라고 설명해요. 채식을 하고 있고, 고양이와 함께 살고 있어요. 2004년부터 젠더 이슈에 대해 고민하다가 2006년부터 활동을 시작했어요. 이전에는 성 정체성에 대해 별로 상관하지 않았는데, 페미니즘 활동에 참여하면서 제가 경험해왔던 것과 여성다움, 남성다움의 개념이 너무 다르다는 것을 깨달았죠. 그러면서 내가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기 시작했어요. 하지만 처음부터 제 자신을 트랜스젠더라고 생각했던 것은 아니에요. 하리수 씨가 2001년에 방송에 나오면서 트랜스젠더의 이미지가 수술과 호르몬 시술을 다 한, 완벽한 모습으로 굳어져 있었거든요. 저는 그런 의료적 조치에 대한 생각보다 내가 나를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가라는 고민에서 시작했고요.

2005년에 한국 성적소수자 문화센터에 후원회원으로 가입하면서 처음으로 자신을 드러내게 되었죠. 그리고 2006년 6월의 퀴어문화축제에 참석했죠. 그 때 기획행사 중에, 트랜스젠더 활동단체 지렁이의 초기모임이라할 수 있는 수다회가 있었어요. 그런데 가보니 행사를 준비했던 사람들 중에 새로운 사람은 저뿐이더라고요. 보통은 서로 아는 사람들, 초대받은 사람들만 오는데 광고를 보고 온 사람은 제가 유일했어요. 그렇게 사람들을 만나서 이야기하다가 8월달에 지렁이 설립 발족 준비를 했어요. 지렁이에서는 2010년 6월까지 활동을 하다가 이제는 하지 않아요.

Carlos Motta: 의료조치를 받지 않기로 한 결정에 대해 더 말씀해 주시겠어요?

R: 지금 굳이 해야겠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수술이 트랜스젠더임을 증명하는 것은 아니니까요. 의료조치를 받지 않아도 트랜스젠더로 살아가는 방식이 여러 가지 있다고 생각해요. 나중에는 생각이 바뀔지도 모르지만요.

CM: 정치적인 이유에서 내린 결정인가요, 아니면 그냥 개인적인 건가요? 달리 말하면 육체적인 면만 판단되는 젠더 분류를 재고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내린 결정인가요?

R: 애매한 문제이지만, 굳이 구분하자면 아직 수술을 원하지 않는다는 판단을 내리고 난 다음에야 정치적 효과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했어요. 제가 트랜스젠더라고 소개하면 적지 않은 사람들이 FTM 이라고 오해해요. 제가 MTF인지 FTM인지 굳이 밝히지 않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헛갈려 하죠, 행동을 보면 여자일 것 같은데 외모는 남자인 것 같고. 이런 반응들이 흥미롭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긴 하지만, 그래도 이건 효과를 우선적으로 고려한 건 아니에요.

CM: 지금 한국의 트랜스젠더 활동가들이 갖는 문제의식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그리고 이런 문제들에 대해 앞으로 취할 행동과 전략은 무엇인가요?

R: 가장 큰 과제는 주민등록번호에요. 한국사회에서는 개인정보 중 주민등록번호를 굉장히 자주 요구하는데, 그 안에 성별이 포함되어 있어요. 트랜스젠더들은 주민등록번호 상의 성별과 보여지는, 혹은 생각하는 성별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이 거리감을 많이 느껴요. 취직을 할 때에도 요구하기 때문에 취직을 못하거나, 비정규직 생활을 해야 하죠. 또 트랜스젠더들을 호르몬 투여를 하기 때문에 나이가 20살 정도 어려 보여서 술집에 가거나 담배를 살 때에도 주민등록증을 많이 요구하해요. 때로는 동일 인물이 아니라고 의심을 받기도 하고요.

또 다른 문제는 화장실이에요. 화장실은 성별 이분법으로 나누어져 있고 그걸 외모로 규정하죠. 그래서 장애 여성 단체와 함께 화장실 구분을 새로이 하자는 이야기를 했었죠. 지금 장애인 화장실도 성별로 따로 있는 게 아니라 하나만 있잖아요. 이들은 장애인 화장실도 성별로 구별해서 나눌 필요를, 저희는 성이 구분되지 않은 또 다른 화장실이 필요를 느꼈죠. 그래서 공동 행동이 필요하다는 발의까지는 나왔는데 아직 직접 구현되지는 못했어요.

2008년쯤에는 쉼터 문제가 제기되었어요. 그때 가출한 한 트랜스젠더가 있었는데, 호르몬 투여로 외모는 여성 같아서 갈 데가 없는 거에요. 기존의 쉼터들은 동성애자라고만 해도 거의 배척하는 분위기이기 때문에 트랜스젠더들을 당연히 받아들이지 않았죠. 그래서 쉼터를 새로이 구성해야 하는지, 아니면 기존의 쉼터에서 지원하는 곳을 만들 것인지 논의가 됐었어요. 또 요즘에는 의료조치와 관련해서 여러 논의가 있어요. 우선 의료보험이 안 되고, 관련 규정도 없기 때문에 의사들이 부르는 게 가격이에요. 의사에 따라서 결과가 완전히 달라지기도 하고요.

CM: 방금 말씀하신 것들 중 몇 가지를 더 깊게 이야기해봤으면 하는데요. 특히 화장실 문제가 흥미롭네요.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 정치 기관 등에 단체로서 혹은 개인으로서 발언하는 것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R: 아직 본격적인 운동으로 진행되지는 않았고, 몇몇 활동가들이 언론에 기고를 하면서 문제를 제기했죠. 이게 중요한 이슈가 된 것은 2007년 초반의 인권활동가 대회에서였어요. 트랜스젠더 운동단체로 참가한 적이 있었는데, 그때 묵었던 건물의 화장실이 여성용, 남성용으로 구분되어 있었어요. 당시 참가했던 지렁이 활동가들이 이에 문제를 제기했고, 결국 한 층의 화장실을 공용화장실로 만들자고 제안했죠. 보통 사람들은 트랜스젠더가 의료조치만 하면 끝이라고 생각했는데, 이런 문제 제기를 통해서 다른 활동가들이 트랜스젠더 이슈를 자기 고민으로 가져갈 수 있었어요.

장애여성단체에서는 장애인 화장실을 여성용, 남성용으로 나누는 것이 이슈화되었는데요. 트랜스젠더 운동에서는 아예 구분이 없는, 모두가 함께 사용하는 공용 화장실을 두자고 주장해요. 만일 장애인 화장실을 따로 두면 그곳에 들어가는 것 자체가 나는 장애인이라고 구분 짓는 방식이 되어버리잖아요. 우리는 그런 구분 자체가 문제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여성이든 남성이든, 장애인이든 아니든 상관없이 다 같이 사용하는 화장실이라는 아이디어를 제안했어요.

사람들이 트랜스젠더 이슈를 생활방식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계기를 만들기 위해서 인권 영화제 같은 행사를 할 때마다 화장실에 대해 계속 문제 제기를 해왔어요. 2008년에는 연세대학교 총여학생회에서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대안화장실에 대한 문화제를 연 적이 있어요. 성별과 장애, 몸에 대해서 질문하고, 퍼포먼스도 했죠. 아직 변화는 이 정도이지만, 이것도 매우 큰 변화라고 생각해요.

CM: 최근에 태국에서 몇몇 학교들이 젠더 구분 없는 화장실을 만들었다고 하는데요. 혹시 이런 이야기를 들어보셨나요?

R: 아니요, 미국 LA에 있다는 이야기만 들어봤어요.

CM: 한국의 트랜스젠더들이 갖는 건강 문제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그리고 활동가로서 이런 사안에는 어떻게 접근하고 있나요?

R: 한국에서는 1930년대쯤부터 성전환수술을 했다는 기록이 있긴 한데, 공식적인 의과대학저널에서는 1980년대 초반부터 이루어졌다고 간주해요. 성전환 수술을 하는 몇몇 유명한 의사가 있기도 하고요. 하지만 실질적으로 법적으로 규정된 것은 전혀 없는 상태에요. 그러다 보니 호르몬 가격이나 투여 기간, 정신과 상담기간 등에 대한 어떠한 기준도 없죠. 시술 가격도 의사에 따라 20배 이상 차이가 나고, 의료사고나 후유증이 심하게 남는 경우도 많아요. 그래서 요즘에는 태국으로 많이 나가요.

사실 의료보험에 관해서는 좀 딜레마가 있어요. 의료보험 적용이 안 되면 뒷거래, 그러니까 암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고, 오히려 더 싸게 치료받을 수 있거든요. 사실 제도화라는 것이 지금까지 수월하게 받아들였던 것들은 불법화하는 과정이기도 하잖아요. 특정 국가 관리 안에 있는 것만 용인하고 그 외에 활동은 다 통제하겠다는 욕망을 반영하죠. 그래서 제도화를 망설이는 활동가들도 많이 있어요. 차라리 암시장을 커뮤니티 안에서 돌도록 만들고, 의식 있는 몇몇 의사들과 규합해서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이 낫지 않을까 하고 생각하는 거죠.

CM: 그럼 트랜스젠더들은 자기 건강을 스스로 책임져야 하나요? 그러니까 어떤 종류의 기관 차원의 지원도 없다는 건가요?

R: 전혀 없어요.

CM: 트랜스젠더 활동가로서 이러한 사안들을 다룰 법적 제도를 마련할 생각이 있나요?

R: 의료조치와 직접 관련되진 않았지만, 2006년도에 한 국회의원이 성전환 성별변경서에 관한 특별법안을 발의하려고 했었어요. 구체적으로는 주민등록번호 변경을 좀 더 용이하게 만들기 위한 법안이었죠. 이전까지는 판사 재량이었거든요. 어떤 판사는 호르몬시술이나 수술만 받으면 된다고 하고, 다른 사람은 증명할 사진을 찍어오라고 요구하기도 하고, 이 모든 걸 다 해도 성별 변경 자체가 안 된다고 하기도 하고…… 워낙 사례가 다양하니까 법제화를 하자는 움직임이었어요.

당시에 함께한 법학 전공 트랜스젠더 활동가들이 어떻게 하면 트랜스젠더들에게 더 유리한 방식으로 법을 만들 것인가 끊임없이 논의했었어요. 정신과 의사나 트렌스 수술을 많이 한 의사 등 의학 전문가 2, 3명과 함께 공청회에도 참석했었죠. 만약 이것이 통과되었다면 의료적 차원에서도 변화가 생겼겠죠.

하지만 법안은 통과되지 못했어요. 사실 이전에도 시도한 적이 있었는데 부결되면서, 전반적으로 입법 운동 자체가 침체되어 있었죠. 사람들끼리 운동을 하자고 서로 제안하긴 하지만, 워낙 보통 일이 아니라는걸 알기 때문에 끌고 나가기 힘들었어요. 더구나 트랜스젠더 운동에 전념하는 활동가가 많아야 5-6명이었고, 서포터들까지 다 합쳐도 10명 좀 넘을까 말까였어요.

CM: 그런 이젠 좀 다른 주제를 이야기해볼까 하는데요. 오늘날 한국에서 트랜스젠더들은 어떤 식으로 재현되나요?

R: 이태원 내부와 외부 사이에 큰 차이가 있어요. 단적인 예를 들자면, 홍대나 신촌에서 제가 여성용 옷을 사러 가면 “손님, 남자용 옷은 저쪽입니다”라고 하거나 “여자친구 옷 사러 오셨어요?”라고 말하죠. 이게 한국 내 전반적인 인식이에요. 하지만 이태원에서는 “필요한 것 있으면 골라가세요”라고 하고 아예 “언니”라고 부르기도 하죠.

한국은 전반적으로 호모 폭력이 굉장히 적은 편이긴 해요. 뒤에서 “쟤 여자야 남자야?”라고 수근대긴 하지만 앞에서 이야기하는 경우도 별로 없어요. 하지만 우호적이라기보다는 아직 인식이 없기 때문에,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 모르기 때문이에요. 폭력을 행하거나 혐오를 표현해야 하는 방식 자체를 모르는 거죠. 예전에 치마를 입고 서울 한복판을 돌아다닌 적이 있는데, 사람들이 흠칫하면서 쳐다보기는 하지만 그 이상은 반응은 없었어요. 하지만 이태원에서는 제가 치마를 입고 다녀도 거의 신경을 안 써요. 왜냐하면 이태원은 다른 공간이라는 이미지, 이런 행동이 이태원의 문법이라는 생각이 있기 때문이죠.

1950년대부터 이태원에서 트랜스젠더들이 활동하기 시작했다는 기록이 있어요. 그때부터 바나 클럽들이 있었고, 60년대 말쯤에 공식적인 트랜스젠더 클럽이 생겼고요. 현재에는 약 15개 정도가 있고, 이태원에 사는 트랜스젠더가 한 5-600명 된다고 해요. 클럽에 오는 사람들의 나이대도 다양해요. 십대 후반부터 사오십대까지 있어요.

CM: 그러면 트랜스젠더들이, 좀 일반화이겠지만, 보통 클럽 산업에 종사할 수밖에 없다는 건가요?

R: 그런 건 아니에요. 2006년도 성전환 인권실태조사에도 클럽이나 바에서 일을 하는 비중이 그렇게 많지 않았어요. 이태원 이외의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훨씬 많기도 하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태원의 바들로 많이 오는 이유는 이곳이 가장 생활하기 편한 곳이기 때문이에요. 사람들이 트랜스젠더에 익숙하기 때문에 신경을 별로 쓰지 않고, 클럽들이 있기 때문에 일자리를 구해 생계를 유지하기 쉽기도 하고. 보통 돈을 벌거나 결혼을 하면 이태원에 다시는 안 오겠다고 많이 이야기 하지만, 사실 이곳에 대한 애정은 다들 굉장히 많아요. 언제든지 돌아올 수 있는 고향 같은 느낌? 물론 트랜스젠더가 아닌 다른 사람으로, 다른 곳에서 살고 싶어하는 욕망은 다들 있지만요.

밤에 클럽 앞에서 모여 앉아 있을 때에는 어떤 공간이 만들어진다고 느껴요. 이 사람은 트랜스젠더이지만 또한 여성이라는 약속을 하고 들어오는 공간, 그래서 트랜스젠더들이 제약 받지 않고 자신이 여성임을 마음껏 표현해낼 수 있고, 그것을 가장 편안하고 안전하게 지지해주는 공간이요. 이렇게 우리들이 힘을 얻을 수 있는 공간인 거죠.

이태원 내에서는 차별 문제도 좀 덜한 편이에요. 클럽이 일종의 성노동과 연결되는 공간이긴 하지만, 비트랜스젠더 여성들이 경험한다고 하는 착취구조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어요. 매니지먼트사나 포주 없이 주인과 일대일로 계약하고, 월급을 정하는 식으로 이루어진다고 해요.

CM: 마지막으로 더 하실 말씀은 없으신가요?

R: 이태원에 대한 이야기를 더 할게요. 이태원은 유흥가, 외국인이 많은 위험지역 등 부정적으로 소비되는 경향이 있지만, 사실 저희에게는 굉장히 살기 편안한 공간이에요. 물론 많은 트랜스젠더들이 수술비를 모이기 위해 원룸 고시원에서 어렵게 살고 있긴 하죠. 하지만 그래도 이태원으로 모이는 이유는 나를 표현하는 방식을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이에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한국사회의 주류 또는 규범적 방식의 삶을 살고 있지 않거든요.

농담으로 하는 말 중에, 이태원 지하철역에서 내려서 집까지 걸어가는 약 10분 동안 10개 국어를 듣게 된다는 말이 있어요. 그 정도로 완전히 한국과 다른 공간이에요. 서로 다른 생활 방식들을 배우지 않아도 직감적으로 알게 되고, 편안히 지낼 수 있는 곳이죠. 가끔은 다른 지역도 이렇게 되면 어떨까, 혹시 다른 곳들도 본질적으로 똑같지 않을까 하고 상상해요. 다만 배척하고, 은폐하고, 두려워하고 있는 것뿐이죠.

이런 식의 문화를 만들어내는 것이 운동인 것 같아요. 제가 가장 하고 싶은 운동도 법률운동이나 제도개혁운동이 아니라 사람들의 상상력을 바꾸는 문화운동이에요. 트랜스젠더가 그저 다른 공간에 있는 사람이 아니라 내가 트랜스젠더라고, 혹은 내 부모님이 트랜스젠더라고 상상할 수 있도록 말이죠. 아직 길은 모색 중이지만, 완전히 다른 인식과 상상력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해요. 이태원에서 그런 것처럼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