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image

Interviews

INTERVIEWS > KIM Sungjin

Go to part: 1 2

When it comes to Korean LGBT culture, it is worse than poor. LGBT culture or art is almost non-existent. It seems to me that, to make this flourish, the first step to take is coming out to others; starting from oneself to the whole society. This is the foundation where a diverse LGBT culture can grow.

KIM Sungjin

한국어로 보기

Download interview in PDF format Click here to download PDF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An Interview with KIM Sungjin

June 2, 2010
Chingusai Office, Seoul, Korea 

KIM Sungjin: My name is KIM Sungjin. I have been working as a culture coordinator in Korea for about 10 years. I usually plan and produce festivals and events. A couple of years ago I started doing projects in the gay community. I conducted, at Chingusai, a program where members express themselves through photography and painting. Presently I am making a book with a collective of gay men.

Carlos Motta: Could you describe the Korean cultural production scene, as it pertains to the LGBT community in Korea? What is the kind of work that is being done, what are the issues being addressed by artists and what are the kind of exhibitions that you are making regarding these issues?

KS: Korea is practically barren of LGBT art or culture. This is one of the most mortifying facts that I came to realize after coming out and entering the gay community. There are a couple of photographers who made public their sexual orientation, but other than that, there are almost none dealing with LGBT issues. 

But more than artists carrying out exhibitions on their own issues, I think the most significant factor of art is that it makes possible for common people to reveal their real selves by means of it; in other words, coming out by the means of art. The work I wish to keep up in the cultural area also involves this. My former two projects at Chingusai were the first step; the outcome was quite optimizing so I’m planning to extend these in the future. It is like creating a cultural space where individuals can tell their own stories. 

CM: What is the relationship in the Korean art world to gay issues? Is there a history of addressing, directly, issues of identity or gender, and if so, could you mention some of the ones that are relevant to you?

KS: There must be some action, though faint, in painting, photography, installation or popular art; but none of them appealed to the public nor have been a social issue. As I mentioned above, a couple artists using photography are currently producing works. But I haven’t had a chance to see their works. Only if they had a catalogue or website, I could explain more…

CM: What about other works that deal with the subject matter in a more concealed or subtle way?

KS: I’m not an expert on this, but I’ve never heard nor seen any. 

CM: So what kind of art exhibition do you wish to organize?

KS: What I want to do at Chingusai is to tell stories of ordinary gays, just casually and naturally, stories of ordinary people, of diverse individuals. I don’t want to spilt people in two, into heterosexuals and homosexuals, and differentiate between them. I want to show that everybody exists equally as individuals, that they live their lives with their own characteristics, styles and life values, that being gay is just one small piece of a person. At the same time, since it is difficult in Korea to be oneself, I want to show the sad reality where people are not able to express that last piece. All these stories will build up and form one huge picture. I really adore Nan Goldin; it is like her documentary photos, but just done by ordinary people. 

CM: But it seems, from what you are saying, that this is hypothetical, that you haven't been able to do such a thing? What is holding you back? Why are you not able to do this?

KS: This sort of work begins with ordinary people stepping up and telling their own personal stories. So a lot of Korean gays are afraid to participate, unless they already came out publicly. They feel uneasy taking photos of themselves or of their friends. I am assuming that we will need much more time to achieve a certain level, similar the works of foreign artists. Korea's cultural and social circumstances can be one reason; but the bigger reason is the fact that the subjects are not artists, but ordinary people. 

In these circumstances, my last two years' projects were done with only several people and the resulting works were shown to a very limited group of people. The participants went through a lot of changes, and still cherish the project as a valuable experience. I want gradually expand this project, over the borders of the gay community. It will become something like a collective coming out; not spotlighting one individual, but clustering together diverse stories of diverse persons. 

CM: So the work that you've done here and away is internal, to help people socially with their experience of coping with their sexual orientation.

KS: Yes, that was my first intention. This program was initially titled "self-expressing project"; the exhibition came after, with the results made during the program.  

CM: Is Korean society ready for something like this? And how can you make it happen? Can you approach educational institutions, art schools, or any other institutions to promote this kind of work?

KS: This is the part that always seems unusual to me: many gays are still afraid to come out of the closet and the public in general is still homophobic and prejudiced; but when they come into the realm of art, they suddenly all become more tolerant. My aim is to become a mediating link between the art scene and the Korean mentality. But making big issues by some large-scale exhibition is not really my concern; I want to organize small but diverse ones, based on all kinds of relationships. 

Chingusai offers many educational programs, lectures and seminars. Not much of them are related to art though; it doesn't have enough resources to carry it out systematically. However, contrary to normal assumptions, there are quite many local organizations that are favorable to these works. We can apply for the government's culture and art funds, which is awarded according to the project's content. I believe that there is no particular discrimination of sexual minorities.

CM: Maybe there is a lesson to be learned from the women's movement and the feminist artists in Korea? I know for an example Incheon has the International Women Artists Biennale and it presents work that deals with gender and sexu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women. Are you aware of those initiatives, and can you perhaps collaborate with them or the university programs for example, to bridge those gaps?

KS: I also think that it is possible and achievable; but we have just taken our first step. What really surprises me is that there are almost no cultural resources or activity in the gay community. There are so many social issues to take care of, which require immediate action, that they have no time for art and culture. We also lack human resources. So my last projects were more focused on making a perceivable outcome within the gay community.

Nowadays, however, I came to comprehend that we need a more active and outgoing culture in order to truly communicate with society and public. I believe that only if we gather more people in the community who share the same thoughts, social action and collaboration will be applicable. 

CM: Is there anything you would like to talk about that you haven't already? Something that is urgent for you to discuss?

KS: Korean culture in general suffers poor conditions. When it comes to Korean LGBT culture, it is worse than poor. LGBT culture or art is almost non-existent. It seems to me that, to make this flourish, the first step to take is coming out to others; starting from oneself to the whole society. This is the foundation where a diverse LGBT culture can grow. I'm planning to focus on this subject–coming out–for the time being.

↑Top   

Read edited transcript in English

Download interview in PDF format Click here to download PDF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한국의 전반적인 문화 상황에는 열악한 부분들이 많이 존재해요. 그 안에 있는 LGBT 문화는 훨씬 더 열악하고요. 이들의 문화 예술이라고 할 만한 것이 거의 없는 거죠. 저는 이것이 풍성해지고 발전하기 위한 출발점은 커밍아웃에 있다고 생각해요.

김성진과의 인터뷰

2010년 6월 2일
친구사이 사무실, 대한민국 서울

KIM Sungjin: 저는 한국에서 약 10년째 문화기획자로 일하고 있어요. 축제나 행사나 문화콘텐츠를 주로 기획하고요. 2-3년 전부터는 게이 커뮤니티 내에서도 작게 프로젝트를 하고 있어요. 대표적으로 친구사이의 일반회원들을 대상으로 사진이나 그림 등을 통해서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기획 프로그램을 진행했었죠. 지금은 게이들을 모아서 책을 만드는 작업을 하고 있어요.

Carlos Motta: LGBT 커뮤니티 내에서 문화 생산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려주시겠어요? 예를 들어 어떤 작업이 만들어지는지, 예술가들이 다루는 이슈가 무엇인지, 그리고 본인이 이런 이슈와 관련해서 기획하는 전시가 무엇인지요?

KS: 한국에는 LGBT 미술이나 문화가 거의 없다고 보시면 돼요. 제가 커밍아웃해서 게이커뮤니티를 알게 되면서 가장 답답하게 생각하는 부분 중 하나죠. 물론 개인적으로 자기의 성정체성을 밝히고 작업을 하는 사진작가들이 좀 있기는 하지만, 다른 영역에서는 이를 이슈화한 작업들은 거의 찾아볼 수 없어요.

하지만 이렇게 작가들이 자신의 이슈를 가지고 전시를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저는 예술에 있어가장 중요한 부분은 사람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예술 도구를 통해서 자신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말하자면 예술을 통해서 스스로가 커밍아웃하는 거죠. 제가 문화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하고 싶은 일도 그런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거에요. 그 첫 단계로 친구사이 내에서 약 두 개의 프로젝트를 진행한 거였고요. 이것들이 나름 소정의 성과를 거두어서, 앞으로는 이런 기획 프로젝트를 계속 발전시키고 싶어요. 문화적 차원에서 개인들의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드는 거죠.

CM: 미술계는 게이 이슈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나요? 정체성이나 젠더와 관련된 이슈를 직접적으로 발언한 역사가 있나요? 만약 있다면, 그 중 몇 가지를 예로 들어주실 수 있나요?

KS: 물론 회화나 사진이나 설치나 대중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개인적으로 이루어진 작은 움직임들이 분명히 있을 거에요. 하지만 그런 작가들 중 많은 대중에게 어필을 하고 사회적으로 이슈가 된 사람은 없어요. 아까 말씀드렸다시피 사진 쪽에서 두 명의 커밍아웃한 작가들이 활동한다는 이야기는 들었어요. 저도 이들의 작품을 보고는 싶은데, 전시가 내렸기 때문에 볼 기회가 없었어요. 사진집이나 웹사이트처럼 작품을 볼 수 있는 공간이 있었다면 그 경향성을 알았을 텐데 아쉽게도 저도 잘 모르겠네요.

CM: 그러면 좀 간접적으로라도 이런 주제를 다루는 작품들은 없나요?

KS: 제가 잘 알지는 못하지만, 그런 작품에 대해 듣거나 직접 본 적은 거의 없어요.

CM: 어떤 종류의 미술 전시를 기획하고 싶으신가요?

KS: 제가 친구사이에서 하고 싶었던 작업은 보통 게이들의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하는 것이었어요. 보통 사람의 이야기, 다양한 개인들의 이야기인 거죠. 이성애자와 동성애자라는 이분법을 나누어서 각자가 이런 특별한 점을 지닌다라고 말하고 싶지는 않아요. 모든 사람은 다 하나의 사람으로서 존재하고, 각자의 특성과 스타일과 가치관을 갖고 산다는 것, 단지 그 중 한 부분이 게이일 뿐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싶어요.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나를 구성하고 있는 한 부분인 성정체성을 자연스럽게 드러내지 못하기 때문에, 그 답답하고 안타까운 상황을 함께 보여주는 거고요. 이런 이야기들이 모여서 하나의 전체적인 그림이 완성되는 느낌이랄까요? 제가 낸 골딘을 정말 좋아하는데, 말하자면 그녀의 다큐멘터리 사진작업 같은 것을 보통 사람들과 함게 하고 싶어요.

CM: 그런데 들어보니 그런 상황을 직접 경험한 게 아니라 가정하고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요. 걸림돌이 되는 게 있나요? 왜 이런 활동을 실제로 하지 못하는 건가요?

KS: 이런 작업은 보통 사람들이 자기 이야기를 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렇기 때문에 우리 나라 게이들은 커밍아웃을 하지 않은 이상 이런 작업을 하길 두려워 하죠. 자기의 사진이 찍히거나, 자기 주변 친구들을 찍는 것에 많은 불편함을 느끼죠. 그래서 외국의 많은 작가들의 작업 수준까지 도달하기 위해서는 아마 오랜 시간이 걸릴 거라고 생각해요. 그 이유는 한국의 문화적, 사회적 상황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무엇보다 작업의 주체가 작가가 아닌 보통 사람이기 때문인 것 같아요.

그래서 작년과 재작년에 아주 작게, 몇몇 사람들과 프로젝트를 진행해서 아수 소수의 사람들에게만 작업을 공개했어요. 참여했던 사람들은 여러 변화를 겪었고, 지금도 그 작업을 소중한 기억으로 갖고 있어요. 저는 이 작업을 서서히 발전시켜서 게이 커뮤니티만이 아니라 더 바깥으로 바가길 바라고 있어요. 그럼 일종의 집단적인 커밍아웃일 될 수도 있겠죠. 단지 한 개인에 조명을 비추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넘어서는 여러 사람의 이야기가 모아서 담는 거죠.

CM: 그러면 주로 내면적인 도움, 그러니까 사람들이 자신의 성적 지향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돕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KS: 첫 번째 의도는 그랬죠. 왜냐하면 처음에는 "자기 표현 프로젝트"라고 시작했거든요. 전시는 그 프로젝트의 결과물로 진행한 거고요.

CM: 한국 사회가 이런 작업을 잘 받아들일 수 있을까요? 잘 수용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혹시 교육기관이나 미술학교, 또는 다른 어떤 종류의 기관과 이런 작업을 함께하실 수는 있지 않을까요?

KS: 저도 이 부분을 특이하다고 생각하긴 하는데요. 아직까지는 수많은 게이들이 커밍아웃을 두려워하고, 일반 사람들의 경우에는 동성애에 대한 혐오감이나 잘못된 편견을 많이 가지고 있지만, 예술의 어떤 아우라가 덮어씌워질 때에는 좀 더 많은 부분들이 용납되는 것 같아요. 그래서 저는 제가 한국의 정서에 맞게 이를 중계하고 매개하는 사람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요. 하지만 이런 작업을 크게 해서 큰 이슈를 만드는 것은 오히려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해요. 다양한 관계를 통해서 이런 성과물들을 작게 작게 기획하고 싶어요.

친구사이에서도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나 초청 강연, 세미나 등을 많이 하고 있어요. 하지만 예술과 결합한 프로그램은 거의 없고요. 그러기 위해서는 내적 자원이 더 풍성해져야 하고, 체계적으로 갖추어져야 할 거에요. 하지만 이런 작업에 우호적인 단체들도 국내에 생각보다 많은 편이에요. 정부의 문화예술 지원기금은 프로젝트 내용에 따라서 받을 수 있어요. 성소수자이기 때문에 제한을 두는 경우의 아마 없을 거에요.

CM: 한국의 여성운동과 페미니즘 미술가들에게 배울 점이 있을 것 같네요. 제가 알기로 인천에서 국제여성미술가 비엔날레가 열리고, 여성의 관점에서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다루는데요. 이런 시도에 대해 알고 계시나요? 이 비엔날레나 다른 대학 프로그램 등과 연계해서 이 괴리를 메울 수 있지 않을까요?

KS: 저도 그런 프로젝트는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저희는 이제 첫발을 디뎠을 뿐입니다. 저도 약간 놀란 사실인데, 게이 커뮤니티 내에는 문화적 자원이나 활동이 거의 찾아볼 수 없었어요. 거기에 생각이 미치지 못할 정도로 사회 운동이나 인권 운동 쪽에서 할일이 너무 많았기 때문이죠. 인력도 모자라고요. 작년까지만 해도 저 역시 게이 커뮤니티 내부에서 작은 성과를 내는 것만 생각하고 있었고요.

하지만 지금은 게이로서 좀 더 적극적으로 사회와 대중들과 소통을 하는 문화기획을 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어요. 좀 더 커뮤니티 내부에서 같은 고민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진다면 훨씬 더 적극적인 사회적 활동이 가능해지지 않을까 생각해요.

CM: 아직 미처 말하지 못한 것이 있나요? 더 다루어야 할 중요한 사안이 있으신지요?

KS: 한국의 전반적인 문화 상황에는 열악한 부분들이 많이 존재해요. 그 안에 있는 LGBT 문화는 훨씬 더 열악하고요. 이들의 문화 예술이라고 할 만한 것이 거의 없는 거죠. 저는 이것이 풍성해지고 발전하기 위한 출발점은 커밍아웃에 있다고 생각해요. 스스로에 대한 커밍아웃에서부터 시작해서 사회적인 커밍아웃에 이르기까지, 이것이 전제되지 않는 한 LGBT의 다양한 문화가 생성될 수 없겠죠. 그래서 저는 당분간 몇 년 동안 끊임없이 커밍아웃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젝트들을 하게 될 것 같아요.

↑Top